본문 바로가기

내 인생의 클래식 101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e단조

혹시 당타이손(Dang Thai Son)이라는 피아니스트를 아시는지요? 베트남 출신인데 국적은 캐나다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1980년에 우승해 화제로 떠올랐던 인물이지요. 왜 화제였는고 하니, 1927년 막을 올린 이 국제 콩쿠르에서 아시아인으로는 당타이손이 최초의 우승자였기 때문입니다. 쇼팽의 고향인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5년마다 한번씩 열리는 이 콩쿠르가 명피아니스트들의 산실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지요. 당타이손 직전에(1975년) 우승했던 피아니스트는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직후에(1985년) 우승했던 피아니스트는 스타니슬라프 부닌입니다. 1960년대에는 마우리치오 폴리니, 마르타 아르헤리치 같은 피아니스트들이 이 콩쿠르에서 우승했습니다. 하나같이 쟁쟁한 이름들입니다. 그렇게 세계적인 스타들을 배출해온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 당타이손은 우승뿐 아니라 3개의 특별상(폴로네이즈상, 마주르카상, 콘체르토상)까지 휩쓸었으니 화제가 될 수밖에요.

한편으로는 이런 생각도 떠오릅니다. 지금은 어떤지 확신할 수 없지만, 적어도 1980년의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는 매우 공정한 심사가 이뤄졌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오로지 실력으로 승부할 수 있는 ‘페어 플레이’ 시스템이 살아 있었던 것이고, 당시에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던 피아니스트들도 ‘예술가의 자존심’이라는 중심을 잃지 않았던 것이지요.

저는 한 6~7년쯤 전에 당타이손과 저녁식사를 같이 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그는 연주회를 위해 내한한 차였고, 그날 식사 자리는 당시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던 강충모 교수(현재 줄리어드 음대 교수)의 주선으로 마련됐습니다. 두 사람은 쇼팽 국제 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 만나 우정을 쌓은 듯했습니다. 그래서 어느날 저녁, 서울 서초동에 있는 한 레스토랑에 세 남자가 모였지요. 당타이손은 저보다 세 살, 강교수는 한 살 위였기 때문에, 약간 과장해서 말하자면 마치 옛친구들이 오랜만에 만나서, 약간 수다스럽게 이야기꽃을 피우는 분위기였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아주 기분 좋은 저녁 자리였지요. 여전히 자신의 오리지널 네임을 고집하고 있는 당타이손의 이름을 한자로 쓰면 ‘등태산’(登泰山)입니다. 그는 제가 가진 수첩에 자신의 이름을 한자로 썼고, 저는 태산에 몇 번이나 올라가 봤냐는 썰렁한 농담을 던지면서 화기애애하게 놀았지요. 제가 본 당타이손은 한마디로 착하고 따뜻한 사람, 남자라기보다는 거의 여성으로 느껴질 정도로 섬세하고 부드러운 사람이었습니다.

오랜만에 그와의 추억을 되짚어보는 까닭은 오늘 여러분과 함께 들을 음악이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1번 e단조>인 까닭입니다. 쇼팽의 피아노 음악은 예나 지금이나 당타이손의 변함없는 장기 중의 하나지요. 지금 이 글을 쓰면서 듣고 있는 음반도 당타이손의 LP입니다. 1992년에 폴란드의 바르샤바 필하모닉홀에서 녹음한 연주인데, 일본 음반사 빅터(Victor)에서 나왔습니다. 물론 이 음반을 추천음반 목록에 올리기에는 오케스트라 부분의 연주가 부족한 측면이 있습니다. 게다가 지금은 구할 수 없는 음반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당타이손과의 만남 이후, 가장 즐겨 듣는 쇼팽의 협주곡 음반 가운데 하나로 자리했습니다. 당타이손의 연주는 서정미가 정말 빼어납니다. 남자의 피아노 터치가 어쩌면 이렇게까지 섬세할까 싶을 정도입니다. 특히 1악장의 두번째 주제 선율, 또 녹턴(야상곡) 스타일의 2악장에서 보여주는 칸타빌레(노래하는 듯한) 풍의 선율을 듣다 보면 가슴이 아릿해지곤 합니다.

쇼팽(Frederic Chopin, 1810-1849) [출처: 위키피디아]

39년을 살다간 쇼팽의 음악적 생애는 피아노에서 시작해서 피아노로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협주곡은 모두 두 곡을 남겼습니다. 오늘 듣는 <1번 e단조 op.11>는 스무 살이던 1830년에 작곡했습니다. 그리고 <2번 f단조 op.21>은 그보다 1년쯤 전에 작곡했지요. 말하자면 <1번 e단조>를 더 나중에 썼습니다. 하지만 출판을 먼저 했기 때문에 ‘1번 협주곡’으로 자리했습니다.

이 곡은 쇼팽이 조국 폴란드를 떠나면서 가졌던 ‘고별 연주회’에서 초연한 음악이었습니다. 1830년 10월 11일 바르샤바 국립극장, 피아니스트는 물론 쇼팽 본인이었지요. 이 곡에 대한 쇼팽 스스로의 언급은 친구인 보이체호프스키에게 보낸 편지에서 확인됩니다. 쇼팽은 1830년 5월 15일의 편지에서 이 곡의 2악장에 대해 이렇게 기술합니다. “이 새로운 협주곡의 아다지오는 E장조라네. 여기서 나는 강렬한 힘을 추구하지 않았어. 로맨틱하고 평화로운 기분에 젖어 약간의 우울함을 느끼면서, 많은 추억들을 되살리는 장소를 바라보는 듯한 느낌을 담아내려고 했지. 아름다운 봄의 달빛이 어린 밤처럼 말이야.”

그의 말처럼 이 곡은 강렬하지 않습니다. 약간의 우울함, 추억의 장소에 대한 회상, 달빛이 고즈넉한 아름다운 봄밤의 정취…. 말하자면 고향을 떠나 더 넓은 세계로 나가기로 마음을 굳힌 쇼팽의 심정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는 곡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아울러 우리는 이 곡을 작곡하던 시기에 쇼팽이 갓 스무 살의 청년이었다는 사실도 기억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당시의 쇼팽은 음악적으로 아직 무르익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협주곡 1번과 2번은 오케스트레이션 부분에서 음악적으로 취약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또 스무 살 청년들이 흔히 그렇듯이 감상주의의 편린을 음악 곳곳에서 드러내고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런 부분적 미숙함에도 불구하고 쇼팽이 남긴 두 곡의 피아노 협주곡은 듣는 이의 마음을 툭툭 건드립니다. 쇼팽 이전의 음악사에서는 만나기 어려웠던 피아노의 독특한 뉘앙스, 음을 밀고 당기면서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선율미, 아울러 듣는 이의 가슴 속으로 곧바로 스며들어오는 직접적인 낭만성 같은 것들이야말로 쇼팽 음악의 힘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그의 음악에는 사람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정서적 매력이 존재합니다. 게다가 이 곡은 고향을 떠나는 스무 살 청년의 마음을 담아내면서, 이후의 쇼팽이 죽는 날까지 앓아야 했던 ‘향수병’을 미리부터 예감케 합니다. 1831년 9월 파리에 당도한 쇼팽은 폴란드 억양이 짙은 프랑스어로 말하면서 살았다고 합니다. 노상 그리워했던 고향에는 죽는 날까지 결국 돌아가지 못했습니다.


쇼팽의 많은 음악이 그렇듯이, <피아노 협주곡 1번 e단조>는 아무런 설명 없이 들어도 가슴으로 잔잔하게 밀려들어옵니다. 애상이 깃든 가요적 선율이 빈번히 등장하는 까닭에 서너 번만 반복해 들으면 음악이 그대로 외워집니다. 1악장은 관현악이 당당하면서도 비장한 분위기의 첫번째 주제를 제시하면서 시작하지요. 두번째 주제는 현악기들이 연주하는 가요풍의 선율입니다. 다시 첫번째 주제가 연주되다가 마침내 피아노가 등장해 두 개의 주제 선율을 잇따라 펼쳐냅니다. 듣는 이의 마음을 좀더 끌어당기는 선율은 역시 두번째 주제입니다.

2악장은 느린 템포의 로망스 악장입니다. 현악기들이 여리게 도입부를 이끌고, 이어서 피아노가 노래하는 듯한 주제 선율을 연주합니다. 쇼팽이 친구 보이체호프스키에게 얘기했던 바로 그 악장이지요. 약간의 우울함과 회상의 분위기, 달빛의 느낌 등으로 가득한 악장입니다. 중단 없이 아타카(attacca)로 이어지는 3악장은 생기 넘치는 도입부로 시작하는 론도 악장이지요. 론도(Rondo)라는 것은 하나의 주제를 계속 반복하는 것입니다. 그 사이사이에 에피소드 풍의 삽입구가 끼어들지요. 도입부가 끝나면 피아노가 스케르찬도(scherzando, 익살스럽게)로 연주하는 민속음악 풍의 발랄한 선율이 등장하는데, 그것이 바로 3악장의 론도 주제입니다. 그 선율을 잘 기억하시면서 마지막 장면까지 귀를 기울여보시기 바랍니다.

 

글/문학수 



아르투르 루빈슈타인(Arthur Rubinstein), 스크로바체프스키ㆍ런던 뉴 심포니/1961년/RCA

쇼팽 피아노 협주곡의 명연으로 오랫동안 회자돼온 녹음이다. 아르투르 루빈슈타인(1886~1982)은 쇼팽과 동향의 피아니스트다. 러시아 출신의 피아니스트 호로비츠와 쌍벽을 이루면서 19세기 낭만의 전통을 20세기로 이어간 연주자였다. 특히 쇼팽의 음악은 그의 명실상부한 장기였다. 폴란드적인 정서와 비르투오소적인 테크닉이 흔들림 없이 펼쳐진다. 그는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수차례 녹음했지만 오늘은 1961년의 연주를 권한다. 한창 젊은 시절에 추구했던 화려함에 비해 온건하고 부드럽다. 21세기에 접어들어 그의 연주를 ‘낡은 것’처럼 인식하는 경향도 있지만, 쇼팽을 운위하면서 루빈슈타인을 빼놓을 수는 없는 일이다. 스테레오 초기의 녹음이지만 음질도 나쁘지 않다.


마르타 아르헤리치(Martha Argerich), 클라우디오 아바도ㆍ런던 심포니/1968년/DG

본문에서도 언급했듯이 마르타 아르헤리치(1941~)는 1965년 쇼팽 콩쿠르 우승자였다. 이제는 거장의 반열에 들어섰지만, 피아니스트로서의 이력은 쇼팽과 함께 막을 올렸다. 그는 쇼팽의 1번 협주곡에서 3종의 중요한 녹음을 남겨놓고 있다. 쇼팽 콩쿠르 당시 로비츠키가 지휘하는 바르샤바 필하모닉과의 녹음, 또 지휘자 샤를 뒤투아와 함께 한 녹음(1998)에서도 훌륭한 연주를 들려준다. 오늘은 얼마 전 타계한 클라우디오 아바도와의 연주를 권한다. 쇼팽 음악의 서정성과 더불어 쇼팽의 내면에 자리한 뜨거운 열정을 오롯이 표현하는 명연이다. 특히 3악장에서의 탄력 있는 연주는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크리스티안 지메르만(Krystian Zimerman)ㆍ폴란드 페스티벌 오케스트라/1999/DG

크리스티안 지메르만(1956~)이 피아노와 지휘를 모두 맡고 있다. 역시 폴란드 태생인 지메르만도 지금까지 여러 종의 녹음을 남겨놓고 있다. 지휘자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와의 녹음(DG), 또 키릴 콘드라신과의 라이브 레코딩(DG)도 있다. 20년쯤 세월이 흘러, 이번에는 본인이 직접 지휘까지 맡았다. 이 음반은 한마디로 ‘지메르만 모든 것’을 담아낸 호연이다. 오케스트라까지 직접 조직해 자신이 해석하는 쇼팽 음악의 진수를 펼쳐내고 있다. 피아노든 관현악이든, 음 하나하나를 세밀하게 조탁해내는 그의 완벽주의를 만날 수 있는 녹음이다. 엄격함 속에서 건져 올린 아름다움이 충만하다. 현재 국내 매장에서 가장 많은 이들이 찾는 쇼팽 협주곡 음반이다.


[관련 기사]

-혼자 있는 밤에 들으면 더욱 좋은 음악, 쇼팽의 녹턴
-아사 직전의 유태인 피아니스트, 독일군 장교 앞에서 쇼팽곡 연주
-오, 사랑하라, 사랑할 힘이 남아 있을 때까지 - 리스트, 사랑의 꿈
-그녀를 위해 노래 만드는 게 얼마나 행복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