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객석에서

연극 ‘33개의 변주곡’…볼 게 너무 많아서 피곤했던

공연이 끝나고 대기실로 들어섰다. 윤소정 선생이 담배연기를 휘~ 내뿜고 계셨다. 윤선생이 담배를 피우는 모습은 언제 봐도 근사하다. 나도 옆에 앉아 한 대 피워 물었는데, "공연 어땠어?"라고 묻는다. 하마터면 "에이, 그저 그랬어요"라고 말할 뻔했다. 바로 앞에서는 베토벤을 열연했던 배우 박지일이 거울 앞에 앉아 분장을 지우고 있었고, 디아벨리 역의 이호성씨는 "진보 언론, 경향신문! 힘내십시요"라고 덕담까지 건네왔던 차였다. 그런데 나는 하마터면 그 모든 배우들이 바로 조금 전까지 열연을 펼쳐보였던 <33개의 변주곡>에 대해 실언을 내뱉을 뻔했다. 공연 직후에 배우들이 모인 대기실에서 "별로"라는 말을 내뱉는 것은 당연히 적절치 않다. 게다가 그날 출연진 7명은 저녁 공연을 한차례 더 남긴 상태였다. 

그렇지만 신문에 나갈 리뷰는 느낀 대로 솔직히 쓸 수밖에 없었다. 이 공연의 가장 큰 재미는 역시 '준비된 배우들'의 섬세한 연기였다. 하지만 그들의 말과 몸짓을 무대 위의 다른 요소들이 너무 많이 가로막았다는 인상을 지우기 힘들다. 보기 드물 정도로 과도한 물량 투하가 이뤄진 무대였다. 왜 그랬을까? 극장의 크기, 무대의 크기 때문이었을까? 어쨌든 그 탓에 배우들의 연기가 묻혀버리면서, 오히려 무대 뒤의 영상 같은 요소들이 관객의 시선을 끌어당기는 우를 범했다고 생각한다. 물론 나는 개인적으로, 연극 무대에서 영상을 빈번히 쓰는 것을 탐탁치않게 여기는 편이다. 좀 심하게 얘기하자면, 무대를 채워나갈 에너지에 대해 스스로 자신감이 부족할 때 그런 테크놀로지에 유혹당한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33개의 변주곡>은 구성이 나이브한 희곡이다. 좀더 타이트하게 조이는 전략이 필요했던 것 아닐까? 이 연극에는 디테일을 섬세하게 배려한 아주 예쁜 장면들이 자주 등장하지만, 적절한 긴장과 이완을 통해 리듬감 넘치는 전개를 보여주진 못한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 

그런데 이호성씨는 노래를 참 잘한다. 극중에서 출연자 전원이 키리에를 합창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는 굵직한 저음으로 합창의 중심을 탄탄하게 잡아줬다. 또 윤소정 선생은 대상포진을 앓으면서도 배우로서의 프로정신을 여실히 보여줬다. 한데 대기실에서 얼핏 본 클라라 역의 서은경은 표정이 좀 어두웠다. 왜 그런지 짐작이 가기는 한다. 서은경은 이날, 전작이었던 <에이미>에서보다 훨씬 사랑스러운 연기를 선보였지만, 공연 내내 뭔가가 그의 마음을 계속 불편하게 만들었던 모양이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그대 스스로 이겨낼 수밖에.

[객석에서]연극 ‘33개의 변주곡’

기사입력 2010-10-20 22:03



엄마가 루게릭 병에 걸렸다. 하지만 음악학자인 그녀는 병든 몸으로 일생의 마지막 논문에 매달린다. 작곡가 베토벤이 삶의 종점에서 남겨놓은 ‘디아벨리 주제에 의한 33개의 변주곡’. 그것이 그녀의 마지막 연구 테마다. 베토벤은 왜 ‘구두 수선공의 헝겊조각’(Cobbler’s Patch)이라고 스스로 폄훼했던 B급 작곡가 디아벨리(1781~1858)의 ‘형편없는 왈츠’를 끝없이 변주했던 것일까? 엄마는 팔다리 신경이 허물어져 픽픽 쓰러지면서도, 이 중대한 음악사의 미스터리를 풀어보려고 애쓴다. 딸은 그런 엄마를 “미쳤다”고 힐난한다. 인생의 마지막 투혼을 불태우면서 점점 몸을 망가뜨리는 엄마의 태도를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엄마가 보기에 그 딸은 “이것저것 직업을 바꾸기만 할 뿐, 아무것도 야무지게 할 줄 모르는 풋내기”일 뿐이다.

지난해 3월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돼 찬사를 받았던 <33개의 변주곡>이 한국에서도 막을 올렸다. 노배우 제인 폰다(72)가 음악학자 캐서린 역을 맡아 46년 만에 브로드웨이에 컴백해 화제가 됐던 연극이다. 한국에서는 관록의 배우 윤소정이 그 역할로 베토벤과의 만남을 시도한다. 그녀는 꿋꿋한 정신과 우아한 매력을 끝까지 잃지 않으려고 애쓰면서, 비록 실수는 많지만 솔직하고 인간적인 딸 클라라와 반목한다. 그래서 이 연극은 병든 음악학자의 집념어린 탐구를 전면에 내세운 가운데 위대한 음악가의 말년에 숨은 미스터리를 또 하나의 극적 카드로 장치한다. 아울러 모녀의 반목과 화해를 곁들이면서 관객의 실감과 재미를 배려했다.

베네수엘라 출신의 작가 겸 연출가 모이시스 카우프만의 작품. 그의 일반적인 창작 경향에서는 많이 벗어나 있다. 알려져 있다시피 그는 동성애자이고, <라라미 프로젝트> <그로스 인디센시(gross indecency)> 같은 작품들을 통해 차별과 인권의 문제에 예민한 촉각을 세워온 작가 겸 연출가였다.

전작들에 비해 다소 엉뚱한 행보로 비쳐지는 <33개의 변주곡>은 시공간을 정신없이 넘나든다. 19세기 초반의 독일 본과 오스트리아 빈, 21세기의 초반의 미국 뉴욕 사이를 바쁘게 오간다. 한국 연출가 김동현은 이 광범위한 시공의 교차를 암시적 미장센과 스크린의 영상을 통해 엮어냈다. 베토벤이 작곡했던 변주곡의 필사본 악보들, 루게릭 병에 걸린 캐서린의 MRI 촬영 장면 등을 영상으로 투사하면서 극에 대한 관객의 집중을 유도한다. 아울러 변주곡 33곡 가운데 20곡을 실제로 무대에서 연주하면서 관객의 실감을 위한 노력을 아낌없이 보여준다. 연출자가 이 연극을 ‘친절하게 보여주기’ 위해 얼마나 고심했는지 충분히 가늠할 수 있는 무대다.

하지만 아쉬움이 남는다. 현재의 캐서린과 과거의 베토벤이라는 두 개의 기둥, 여기에 모녀의 갈등이라는 또 하나의 기둥을 추가하면서 이 연극은 이미 초점이 다소 분산된 상태. 거기에 배우들의 연기를 압도할 만큼의 영상이 투사되고, 라이브 연주까지 곁들이면서 동맥경화의 위험을 스스로 부채질한 것은 아닐까 우려된다. 게다가 연극의 처음부터 끝까지, 투병 속에서 의지를 불태우는 캐서린의 존재감을 지나치게 부각하면서 ‘인간 승리의 드라마’를 자초한 측면도 부정하기 어렵다. 베토벤은 왜 한걸음 더 전면으로 나서지 않는 걸까? 캐서린과 어깨를 나란히 맞댄 채 ‘바이올린 소나타’와도 같은 긴장 어린 화음을 왜 만들지 않는 걸까? 그렇다면 이 연극의 맥박은 한층 뜨거워질 수 있었을 텐데 말이다. 그래도 배우들의 빼어난 연기를 보는 맛은 쏠쏠하다. 윤소정, 이호성, 박지일, 길해연, 박수영, 이승준, 서은경 등. 11월28일까지,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문학수 선임기자 sachimo@kyunghyang.com>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