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yes24.com/Article/View/21374
2주 전에 쇼팽의 ‘녹턴’을 들었습니다. 오늘은 ‘발라드’입니다. 쇼팽은 모두 4곡의 ‘발라드’를 남겼습니다. 1831년부터 1842년까지, 그러니까 스물한 살부터 서른두 살 때까지입니다. 창작력이 가장 왕성했을 뿐 아니라 프랑스 파리에서 청년 음악가로 승승장구하던 시절에 작곡된 곡들입니다. 저는 2주 전에 “녹턴은 시적이고 영상적인 반면에 발라드는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썼습니다. “녹턴은 시적이고 발라드는 서사적”이라고도 했습니다. 오늘은 바로 그 지점에서부터 ‘발라드’에 대한 얘기를 풀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발라드’(ballade)라는 말은 오늘날 대중음악에서도 흔히 쓰입니다. 리듬보다는 선율과 가사를 더 중시하는, 템포가 좀 느린 러브송을 ‘발라드’라고 얘기하지요. 음악적으로 적확한 개념이라기보다는 ‘댄스음악’과 대비되는 표현으로 흔히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오늘까지도 일상적으로 쓰이는 이 ‘발라드’라는 말은 언제 처음 생겼을까요? 사실 이 용어의 기원은 아주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발라드’라는 말이 처음 등장한 것은 중세 시대였지요. 12세기에 프랑스 남부지방에서 불리던 음유시인들의 노래에 ‘발라드’라는 명칭이 붙기 시작했습니다. 유절형식(有節形式), 그러니까 1절, 2절, 3절 식으로 노랫말이 여러 개의 절을 이루고 ‘르프랭’(refrain)이라는 후렴구로 각각의 절을 연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부르는 노래와도 아주 흡사하지요.
발라드는 교회나 궁정의 음악이 아니라 민중이 즐겼던 ‘세속음악’이었습니다. 따라서 두가지 요소가 중요했습니다. 하나는 사람들이 아무 곳에서나 덩실덩실 ‘춤’을 출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었고, 또 하나는 흥미를 끌 만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었지요. 물론 중세 사람들이 발라드에 맞춰 추던 춤은 요즘처럼 템포가 빠른 춤은 아니었겠지요. 아울러 발라드 속에는 당대의 민중이 재미를 느낄 법한 다양한 이야기들이 들어 있었습니다. 어떤 이야기들이었을까요? 전설이나 신화, 민담 같은 것들이었겠지요. 또 빠질 수 없는 것이 남녀상열지사였을 겁니다. 예컨대 마님과 마당쇠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야기 같은 것들이었겠지요. 프랑스 남부에서 발생한 발라드는 영국과 이탈리아, 독일 등지로 점차 퍼져갑니다. 그 과정에서 ‘이야기’가 한층 강화되고 춤은 점점 소멸합니다. 그래서 결국 ‘발라드’는 어떤 이야기를 담은 시, 즉 담시(譚詩)라는 의미로 굳어집니다. 중세 이탈리아의 단테, 독일 낭만주의 시대에 이르면 괴테나 실러 같은 이들이 ‘발라드’를 썼습니다. 그러니까 음유시인들의 노래에서 출발한 발라드는 ‘이야기가 담긴 시’로 이어졌던 셈입니다.
쇼팽(Fryderyk Franciszek Chopin) [출처: 위키피디아]
그러다가 마침내 19세기에 악기만으로 연주하는 ‘기악 발라드’가 등장하지요. 그 대표적인 음악가가 바로 쇼팽입니다. 물론 다른 음악가들도 종종 ‘발라드’를 썼습니다. 그러나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쇼팽이 남긴 ‘피아노를 위한 4개의 발라드’라고 해야겠지요. 가사 없이 악기만으로 연주되더라도 발라드는 여전히 발라드입니다. 그 핵심은 앞서 언급했듯이 ‘이야기’입니다. 쇼팽은 자신의 고국인 폴란드의 시인 아담 미츠키에비치(1789~1855)의 시에 영감을 받아 4곡의 발라드를 썼습니다. 인터넷 여기저기에 이 시인과 쇼팽이 친구라고 소개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친구’는 아닙니다. 쇼팽보다 스물한 살 많은 미츠키에비치는 당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대표하는 민족시인이었지요. 폴란드 태생의 피 끓는 청년이었던 쇼팽도 그의 시를 열렬히 좋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발라드 1번은 ‘콘라트 발렌로트’(Konrad Wallenrod), 2번은 ‘윌리스의 호수’, 3번은 ‘물의 요정’, 4번은 ‘버드리의 세 형제’라는 시에서 영감을 받아 쓰였습니다. 이곳에 그 시편들을 일일이 다 소개할 순 없지만, 폴란드의 민족적이고 애국적인 열정을 형상화한 ‘서사적 담시(譚詩)’라는 사실은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다시 말하거니와 ‘발라드’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음악입니다. 물론 시의 내용을 그대로 오선지에 옮겨놓은 것은 아니지요. 미츠키에비치의 시편들이 쇼팽의 음악적 감수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4곡의 발라드 중에서도 특히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1번 g단조’를 듣겠습니다. 이 음악은 쇼팽과 동갑내기 음악가였던 슈만의 극찬을 받았던 곡이지요. 20대 초반의 쇼팽에게서 느껴지는 애틋한 감수성, 아울러 청년의 뜨거운 열정이 함께 버무려진 절창입니다. 특히 맨 앞의 일곱 마디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느리고 장엄한 분위기의 서주가 “지금부터 내가 하는 이야기를 들어보세요”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발라드’라는 장르의 이야기적 특성을 매우 선명하게 보여주는 첫 장면이지요. 1번을 여러 차례 들어 익숙해지면, 그 다음에 ‘2번 F장조’와 ‘3번 A플랫장조’, ‘4번 f단조’를 차례로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영화 한 편을 이야기하고 글을 마치도록 하지요. 쇼팽의 ‘발라드’, 그중에서도 1번을 들으면서 로만 폴란스키의 영화 ‘피아니스트’(The Pianist, 2002)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명배우 애드리언 브로디가 주연했던 이 영화는 독일 나치가 폴란드를 점령했던 시절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요. 블라디슬로프 스필만이라는 실존 피아니스트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쇼팽의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발라드 1번이 연주되는 부분은 잊을 수 없는 명장면입니다. 제가 7년 전에 썼던 에세이의 한 대목을 잠시 옮겨봅니다.
영화 ‘피아니스트’(The Pianist, 2002) 中
독일군이 점령한 페허의 바르샤바. 아사(餓死) 직전의 스필만은 폭격당한 빈집으로 숨어들지요. 구정물과 감자 두 개로 간신히 죽음을 벗어난 그는 도둑고양이처럼 주방을 뒤지다가 통조림 깡통을 찾아냅니다. 벽난로 옆에 놓여있던 부삽으로 깡통을 따려고 안간힘을 쓰지요. 그러다가 깡통이 데구르르 굴러갑니다. 그 자리, 깡통이 멈춘 자리에 한 남자가 우두커니 서 있습니다. 독일군 장교 호젠펠트였지요. “여기서 뭘 하나?” 장교가 묻습니다. “깡통을 따려고…” 스필만은 죽어들어가는 목소리로 대답하지요. “무슨 일을 하나?” 교사 출신의 장교가 다시 묻습니다. “저는…” 머뭇거리던 스필만은 “피아니스트였습니다”라고 ‘과거형’으로 답하지요. 물끄러미 스필만을 바라보던 장교가 한숨을 푹 내쉽니다. 한겨울입니다. 스필만은 낡은 피아노 앞에 앉습니다. 호젠펠트가 “연주해봐”라고 말합니다. 굶주림에 두 눈이 퀭한 스필만은 곱은 손가락으로 ‘발라드 1번 g단조’를 연주하지요. 4분의4박자 느린 라르고를 힘겹게 짚어나가던 손가락이 점차 빨라집니다. 그러다가 마침내 클라이막스. 오른손의 화려한 아르페지오가 폭발하면서, 스필만은 억눌려왔던 음악가의 열정을 결국 터뜨리고 말지요. 그 다음날부터 호젠펠트는 스필만의 다락방으로 몰래 음식을 나릅니다. 러시아군에 밀려 철수하기 직전, 그는 ‘마지막 빵’을 스필만에게 건네며 외투까지 벗어주지요. “전쟁 끝나면 뭘 할거야?” “연주를 해야죠.” “이름은?” “스필만” “피아니스트다운 이름이네.” |
||
글/문학수
p.s. 체코의 피아니스트 이반 모라베츠(모라벡, 모라베크 등으로도 표기함)의 음반(Supraphon)은 쇼팽의 정수가 담긴 명연입니다. 국내에서 구매가 쉽지 않아 추천음반 목록에서 제외했습니다. 만약 이 음반이 눈에 띄면 망설이지 말고 선택하시길 권합니다.
'내 인생의 클래식 1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2번 B플랫장조 op.83 (0) | 2013.02.27 |
---|---|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 d단조 op.15 (0) | 2013.02.26 |
슈베르트, 겨울 나그네(Winterreise) D.911 (0) | 2013.02.18 |
쇼팽, ‘녹턴’(Nocturn, 야상곡) (0) | 2013.02.18 |
베토벤, 교향곡 6번 F장조 op.68 ‘전원’ (0) | 201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