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꽂이

원전을 멈춰라... 히로세 다카시

지난주 경향신문 문화부 테이블에 놓인 책 가운데, 내 눈길을 가장 끌었던 것은 일본의 반핵운동 저널리스트인 히로세 다카시 선생(사진)의 책 <원전을 멈춰라>였다. 구소련 체르노빌 사태 직후에 쓰여진 이 책은 원전의 위험성에 대한 저자의 진정성 있는 고발, 아울러 일본 후쿠시마에서도 언젠가 체르노빌과 같은 대형 참사가 일어나고 말 것이라는 '이성적 예언'을 펼쳐놓는다. 특히 그 참사가 지진이나 해일로 인해 빚어질 것이라는 구체적 예견은 소름을 돋게 할 정도다. 그에 따르면 원전 사고는 우연이 아니라 필연이다. 개연성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적으로 언젠가 반드시 다가올 재앙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다음 타자는 과연 누구일까?  생각만으로도 두렵다. 

  
<원전을 멈춰라>의 원제는 <위험한 이야기>다. 최근의 원전 사태를 맞아 20년 전에 국내에서 출간됐던 책을 다시 펴낸 것이다. 바로 이 '재출간'이라는 점 때문에 토요일자 '책과삶'의 가장 머리에 놓이지 못했다. 대신 후배 김종목 기자가 원고지 9매 가량의 꽤 두툼한 기사로 이 책을 소개했다. 이어지는 박스 글은 시민단체 '에너지전환'의 부대표를 맡고 있는 강윤재 박사가 며칠 전 경향신문 1면의 '책읽는 경향'에 썼던 글인데, 방통대 이필렬 교수의 <에너지 전환의 현장을 찾아서>라는 책을 소개하는 서평이다. 이 두 권의 책, <원전을 멈춰라>와 <에너지 전환의 현장을 찾아서>를 독자들께 권한다. 원전의 공포와 재앙에서 인류가 벗어날 수 있는 길은 오직 하나뿐이며, 그것을 이뤄낼 수 있는 힘은 결국 아래에서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원전을 멈춰라…히로세 다카시 | 이음
ㆍ‘원전안전 신화’의 허구 샅샅이 폭로
 

“후쿠시마 현에는 자그마치 10기가 있죠. 여기서 쓰나미가 일어나 해수가 멀리 빠져나가면 모두 멜트다운될지도 모릅니다.”

일본의 반전반핵·평화운동가이자 저널리스트인 히로세 다카시(70)는 25년 전 지금의 일본 원전 사고를 암울하게 예견한다. 그는 1986년 구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면서 ‘원전안전 신화’의 허구를 구체적 사실로 샅샅이 폭로한다.

책은 원전 사고가 국지적 비극이 아니라 전 지구적 참극으로 확장될 수 있는 시한폭탄이란 걸 강조한다. 히로세는 먼저 ‘죽음의 재’라 불리는 방사성물질의 가공할 파괴력을 문헌으로 자세히 분석한다. 방사능에 직접 노출된 이들이 1년새 수없이 죽어간 사실은 새삼스러울 것도 없다. 체르노빌 남서쪽 450㎞ 떨어진 체르노프치라는 도시에서 아이들의 머리카락이 빠졌다. 1000㎞ 떨어진 스웨덴에도 14종의 핵물질이 검출됐다. 88년 초 소련은 임신 3개월까지 허용됐던 임신중절을 임신 7개월(28주)로 연장했다. 히로세는 분산된 팩트 하나하나를 모자이크처럼 맞춰가며 사고 이면의 어두운 그림자를 찾아간다. 

히로세는 “무지막지한 인간들이, 제국주의 시대의 군벌과 직결되는 인간들이 우리를 지옥으로 초대하기 위해서 기만하고 있는 현실을 보게 되고 사실을 알게 되면 놀랄 것”이라며 원전 산업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체르노빌 사고 2년 전 프랑스의 배가 우라늄을 싣고 소련의 리가로 향하다 사고가 났다. ‘적대국’인줄만 알았던 국가간의 우라늄 거래가 기만의 단적인 예다. 

히로세는 유엔의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유럽 원자력 산업의 중심 인물과의 관계, 모건과 록펠러, 로스차일드 가문 등 영미의 거대 자본가들이 미국은 물론 소련의 정치마저 쥐락펴락하며 원전산업을 확대·재생산한 음모의 주체라고 말한다. 

일본의 ‘무지막지한 인간들’도 ‘돈독’이 올랐다. 일본 당국은 70년대 ‘죽음의 재’ 피해 보고서를 만들었는데, 대사고가 났을 때 보험금 지불 능력을 알아보려는 게 목적이었다. 장례비는 사체 1구당 5만엔. 일본은 체르노빌 사고에도 ‘원전 5배 확대’를 주장했다. 도쿄전력 등은 자사 이익을 평화적 핵사용, 깨끗한 에너지 같은 말로 포장하면서 ‘사회화’했다. 언론도 공범이다. NHK의 외부 위원은 도쿄전력과 원자력위원회 소속 인물들이었다. 위원회에 참여한 아사히 신문 주간은 ‘원전 반대 기사를 쓰지 말라’는 지침을 내렸다. 

‘원전 강국’을 지향하는 한국도 체르노빌 사고 이후를 재현한다. “일본보다 안전하다.” “소련보다 안전하다”고 강변한 일본의 모습과 닮았다. 정부와 친여 언론은 방사능 우려를 ‘괴담’으로 치부한다. 그렇다면 ‘안전량의 플루토늄을 드셔보시든가’라는 게 히로세의 응답이다.

히로세는 후쿠시마를 예견하며 이런 말도 했다. “지금까지 대사고가 일어나지 않았던 것은 우연 중의 우연이죠. 어쩌면 프랑스가 먼저가 될지도 아니면 한국에 있는 9기 중 어떤 것이 터질 것인지….” ‘히로세의 저주’로 여길 일은 아니다. 히로세는 “체르노빌 사고는 일본인이 자신을 향해서 보내는 최후통첩”이라고 했는데, 후쿠시마 사고는 한국인에게 온 최후통첩일 수 있다.

1세대 환경운동가이자 아나키스트인 김원식씨가 90년 번역한 <위험한 이야기>를 다시 냈다. 환경운동가들 사이에서 ‘고전’ 반열에 오른 책의 시의적절한 재출간은 반갑다. 김원식 옮김. 1만2000원

<김종목 기자 jomo@kyunghyang.com>

 

[책읽는 경향]에너지 전환의 현장을 찾아서
 기사입력 2011-03-31 22:30 | 최종수정 2011-03-31 22:52
 
ㆍ위험한 日·희망의 獨, 두 갈래 에너지의 길


▲ 에너지 전환의 현장을 찾아서 | 이필렬·궁리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우리 국민들의 고민은 이런 것이 아닐까? “원전이 위험하긴 한데, 다른 에너지 대안은 있는 거야?”


17기의 원전을 순차적으로 폐쇄하고, 재생가능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전환에 힘을 쏟는 나라가 있다. 후쿠시마 사고 직후 5만명의 시민이 모여 반핵시위를 할 정도로 시민의식도 매우 높다. 그 나라는 바로 독일이다. 그들의 저력은 어디에서 기원하는 것일까? 

원전사고가 터지고 나서, 나는 책장 한구석에 꽂아두었던 한 권의 책을 꺼내들어 다시 읽었다. 화가 났다. 왜 우리 정부는 원자력 외에 길이 없다고 딴청을 놓는 것일까? 여기 분명한 증거가 있는데….

우리가 가야 할 에너지의 길은 일본이 아니라 독일이다. 일본의 길인 원자력은 너무도 위험하고, 석유처럼 유한하며, 환경을 위협한다(핵폐기물을 생각해보라). 반면에 독일의 길인 재생가능 에너지는 안전하고, 깨끗하며, 지속가능하다.

책은 독일에서 벌어지고 있는 에너지 전환의 현장을 찾아서 힘차게 미래를 준비하는 그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 특히 체르노빌 사태를 계기로 원자력 없는 미래를 향한 꿈을 꿨고, 셰나우 전기회사를 세우고 원자력과 대형 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배제한 채 생태전기만을 주민들에게 공급하는 셰나우 주민들의 놀라운 성공 이야기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저자는 “화석에너지와 원자력에 기반한 중앙집중적이고 거대한 에너지 시스템을 벗어나서 재생가능 에너지에 기초한 분산적·분권적 시스템으로 나아가야 할 때”라고 강조한다. 그것이 지역의 풀뿌리 민주주의와 함께 어우러질 때, 우리들 속에 비로소 희망이 자라날 수 있을 것이다.

<강윤재 | 가톨릭대 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