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 속에 노닐다

분쟁의 복판에서, 음악으로 공존을 꿈꾸다

입력 : 2008-10-16 17:49:34수정 : 2008-10-16 17:49:51


시리아 북부에 ‘알레포’라는 마을이 있다. 이스라엘 건국 시기였던 1948년의 1차 중동전쟁 때 폭격으로 폐허가 됐던 마을이다. 알리자 카신이라는 유대인 여인은 그곳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고향은 완전히 파괴돼 아무 흔적도 남지 않았다. 그 참혹한 전쟁터에서 간신히 살아남은 그녀는 레바논 산을 넘어 이스라엘로 피신했다. 이제 노년을 맞은 그녀가 이렇게 회상한다.



“삶은 행복하고 만족스러웠죠. 집이 불탔던 것은 1948년 전쟁 때뿐이었어요. 우리는 그곳에서 형제자매처럼 살았어요. 유대인과 아랍인, 아르메니아인들이 한데 어울렸죠. 모슬렘과 기독교인들이 같은 마당에서 놀았어요. 명절이면 사람들이 선물과 음식을 가져왔죠. 우리는 그것을 함께 나눴어요. 55년 전에 떠나왔는데 마치 어제 일 같아요. 기억할 만한 시절이었죠. 지금도 친구들과 알레포 이야기를 하면 다들 흥분해요.”

일본의 다큐멘터리 감독 사토 마코토(51)가 만든 <아웃 오브 플레이스>(Out of Place)에 등장하는 장면이다. 마코토는 2003년 9월 세상을 떠난 팔레스타인 출신의 사상가 에드워드 사이드(사진)의 궤적을 소형 카메라 한 대로 훑는다. 137분. 다큐멘터리치고는 분량이 많다. 하지만 이 ‘지루한’ 기록 필름이 한국에서 벌써 두 번이나 상영됐다. 2006년 EBS가 ‘국제다큐멘터리 페스티벌’(EIDF) 초대작으로 방영했던 <아웃 오브 플레이스>를, 지난 2일 인디스페이스에서 또 만날 수 있었다. 한국독립영화협회가 주최한 ‘일본 다큐멘터리 특별전’에서였다. 부제로 붙어 있는 ‘에드워드 사이드에 대한 기억들’(Memories of Edward Said)처럼, 우리 사회에도 그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 모양이다.

예루살렘에서 태어난 팔레스타인 사람. 이집트 카이로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16세 때 미국으로 유학해 반아랍주의의 편견에 시달리며 공부했던 사람. 프린스턴과 하버드를 졸업하고 컬럼비아대학에 재임하면서 서구의 자만심에 독설을 날렸던 사람. 덕분에 미국 우파 언론의 끝없는 공격에 시달렸던 사람. 77년부터 팔레스타인 민족회의에 참여했으나 93년에 아라파트와 다투고 등을 돌렸던 사람. 그는 스스로 술회했듯이 “어디 있든지 어긋나 있는” 인생이었으며, 그 ‘어긋남’을 오히려 자신의 정체성으로 끌어안았던 사람이었다.

평화로운 공존. 그것은 과연 가능한 것일까. 사이드는 가능하다고 믿었다. 특히 말년의 그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공존하는 ‘둘이면서 하나인 나라’를 꿈꿨다. 그는 정치권력이 오히려 그것을 방해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이스라엘 권력자를 증오하는 만큼 “아라파트를 미워했다”는 것이 <아웃 오브 플레이스>에 등장하는 증언이다.

그는 음악비평가이자 아마추어 피아니스트이기도 했다. 음악이야말로 ‘공존’으로 가는 징검다리가 되리라 믿었다. 그 동반자가 바로 이스라엘 국적의 지휘자인 다니엘 바렌보임(66)이었다. 두 사람은 90년대 초반 런던의 한 호텔에서 우연히 마주쳤고, 약 5년간 자신들의 믿음을 ‘대화’로 풀어나가며 우연을 ‘필연’으로 바꿨다. 99년 함께 창단한 ‘서동시집 오케스트라’(West-Eastern Divan Orchestra)는 바로 그 결과물이었다. 20세 안팎의 아랍과 이스라엘 젊은이들로 이뤄진 오케스트라. 그들은 2005년 분쟁지역 라말라에서 베토벤 교향곡 5번을 연주해 감동을 빚어낸다. 연주회장 밖은 무장군인들에게 둘러싸인 상태였다.

<아웃 오브 플레이스>의 마지막 장면. 카메라가 바렌보임을 비춘다. 그가 말한다. “사이드는 음악이 갈등을 치유할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었어요. 그게 음악의 본성이거든요. 그래서 그는 (진정한) ‘음악가’였어요.” 객석의 불이 꺼진다. 바렌보임이 천천히 피아노 앞에 앉는다. 슈베르트의 즉흥곡이 흐르는 사이, 카메라는 레바논의 작은 마을 ‘브루마나’로 간다. 사이드의 무덤이다. 백혈병으로 사망한 그는 자신이 태어난 땅으로 가지 못하고 아내의 고향에 묻혔다.

문학수 선임기자 sachimo@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